막걸리의 쓴맛을 감추고 달달한 맛을 내주는 아스파탐, 제로콜라를 비만걱정 없이 마실 수 있게 해 주었던 아스파탐이 하루아침에 발암가능물질로 변했습니다.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아스파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새롭게 정의된 아스파탐의 위험성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진행한 발암 위험성 평가결과에 따르면 아스파탐은 최종적으로 암 발생과 관련이 있지만, 증거가 제한적이라서 발암물질로 분류하기는 부족하다. 하지만, 과다섭취를 했을 때 안전하지 않다는 것은 확실하므로, 대체 감미료로 권장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안전하다고 믿어왔던 아스파탐에 대해 '발암가능물질'로 재분류를 확정한 것입니다. 대신 아스파탐에 설정된 하루 섭취 허용량은 기존과 같이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아스파탐의 하루 섭취허용량은 체중 1킬로그램에 40밀리그램입니다.
구체적으로는 WHO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에서 '23년 7월 14일 아스파탐의 유해성 평가결과를 담은 보도자료에서 '발암가능물질군'인 2B에 포함된다는 내용을 밝힌 것입니다.
발암 위험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1군(확정적 발암물질), 2A군(발암추정물질), 2B군(발암가능물질), 3군(분류불가)로 나누어집니다. 1군에는 술, 담배, 햄, 베이컨과 같은 가공육이 포함되고, 2A군에는 붉은 고기, 튀김이 포함됩니다. 2B군에는 김치나 피클과 같은 절임채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발암에 대한 가능성은 있지만 명확한 증거가 불충분한 것이 2B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연구기관에서 위험도 평가를 한 세부내용을 보면,
체중 70킬로그램의 성인남자가 아스파탐이 포함된 200~300밀리그램의 음료를 하루에 9~14캔을 넘게 마시면 허용치를 넘게되고, 이는 다른 음식물로는 아스파탐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우리가 이렇게 많은 양의 탄산음료를 마시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수준입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아스파탐이 간암 발생과 관련된다는 논문이 있었다고 발표를 했고, 인간의 건강에는 분명히 안전하지 않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아스파탐이 워낙 광범위하게 각종 식품에 사용되다 보니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다량 섭취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지금까지 알려진 아스파탐
아스파탐은 단맛을 내는 대표적인 인공 감미료로 콜라와 소주, 아이스크림, 사탕, 각종 음료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저는 군것질을 잘 안 해서 몰랐지만, 막걸리에 아스파탐이 들어가는 것은 확실히 알고 있었습니다. 막걸리의 달달함을 내는데 아스파탐이나 수크랄로즈라는 인공감미료가 많이 쓰이거든요.
아스파탐은 1965년에 개발된 물질로 설탕에 비해 200배의 단만을 내기 때문에 인공감미료로 많이 활용했습니다. 쓴맛을 줄이고 단맛을 강화하기 때문에 음료에 많이 사용했고, 인공감미료 특성상 칼로리가 현저히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당뇨 식품이나 다이어트 식품에 많이 활용되었습니다.
아스파탐은 '비만'과 '다이어트'의 붐을 타고 크게 성공한 첨가물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18년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안전성은 어느 정도 검증된 것이 아니냐고 알려져 있습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아스파탐 섭취량은 WTO 권고사용량의 0.3% 수준이라서 크게 걱정하는 분위기도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특정 식품군 8가지를 제외한 다른 식품에는 아스파탐 사용량 제한이 없을 정도입니다.
이번에 아스파탐에 대한 위험도 평가결과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궁금합니다. 각 식품업계는 아스파탐을 대체할 다른 인공감미료를 검토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식카린산나트륨,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즈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WTO에서는 이러한 대체 감미료도 위험하니 아예 제품 성분과 제조공정을 개선하여 그 맛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어찌 되었든 인공감미료는 위험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3. WTO의 이번 결과를 믿어야 할까?
저는 기본적으로 인공감미료는 먹지 말아야 하고, 만약 먹게 되어도 최소한도의 섭취만 하는 것이 좋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번 WTO의 아스파탐에 대한 발암 위험도 평가는 또 언제 바뀔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아스파탐은 1965년에 개발되었고, 미국에서 1974년에 최초로 사용이 허가되었습니다. 그런데, 안정성 논란으로 그다음 해 허가가 취소되었고, 위험도 평가를 다시 진행하여 1981년 다시 사용이 허가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다시 '발암가능물질로' 바뀐 것인데 언제 다시 안전하다고 결과를 뒤집을지 모릅니다. 이러한 위험성 판단은 연구기관마다 다르고, 힘 있는 국가의 압력도 작용하기 때문에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 저의 판단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WTO의 아스파탐에 대한 재평가가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제가 원래부터 식품 첨가물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점도 있었고, 이번 발표로 식품업계가 인공감미료 사용에 더 조심스러워질 테니 우리의 인공감미료 섭취량이 조금 더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식품 첨가물이 안전성 평가를 무사히 통과했다고 발표하고, 규정 섭취량 이하로 먹으면 괜찮다고 말해도 제가 그 결과를 믿지 못하는 이유는 모든 실험의 가정이 테스트 대상인 식품 한 가지만 섭취했을 때의 한계 섭취량이기 때문입니다.
아스파탐만 해도 사용하는 식품종류가 5,000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하루 중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면서 어디서 아스파탐이 섭취되는지 하나하나 계산하지 않는 한 일일섭취량을 넘고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세계보건기구의 발표 결과와 무관하게 인공감미료를 비롯한 식품첨가물 섭취에는 늘 조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섭취를 아예 안 할 수 없으니, 최소한도로 줄이려고 노력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건강과 장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켈링을 6개월에 1회씩 받게 된 이유 (0) | 2023.07.15 |
---|---|
소비기한 표시제에 따른 찬성과 반대의견 (0) | 2023.01.11 |
회사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재발하는 대상포진 (0) | 2023.01.08 |
댓글